HJS

Web3란 무엇인가?

Web3는 **탈중앙화(Decentralization)**를 핵심으로 하는 차세대 인터넷개념 입니다.
기존의 Web1, Web2와 달리, Web3에서는 사용가자 데이터의 주인이 되고, 애플리케이션은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합니다.

1️⃣ Web1 → Web2 → Web3 요약

시대특징예시
Web1읽기 전용 (정적 콘텐츠)초기 웹사이트, 블로그
Web2읽기 + 쓰기 (중앙 서버)Youtude, Facebook, Instagram
Web3읽기 + 쓰기 + 소유 (탈중앙화)NFT 마켓, DApp, 탈중앙 거래소


2️⃣ Web3의 핵심 요소

🔹 블록체인


🔹 스마트 컨트랙트


🔹 지갑 (Wallet)



3️⃣ 프론트엔드 개발자 관점에서 Web3란?

기존 Web2Web3
이메일/비번 로그인지갑 연결 로그인
REST API 호출스마트 컨트랙트 호출
DB (MySQL 등)블록체인 상태
세션 or JWT서명 기반 인증
백엔드 서버스마트 컨트랙트 또는 탈중앙화 스토리지 (IPFS 등)

✔️ 핵심은 API 호출 대상이 "블록체인"으로 바뀐다은 점
✔️ 지갑 연결과 ethers.js 또는 wagmi로의 컨트랙트 호출이 주요 변화



4️⃣ 실제 Web3 앱의 동작 흐름

  1. 사용자가 Metmask 지갑 연결
  2. DApp에서 버튼 클릭 → 스마트 컨트랙트 함수 호출
  3. 사용자가 지갑에서 트랜잭션 서명
  4.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됨
  5. DApp은 결과를 실시간으로 조회해 사용자에게 보여줌


5️⃣ 느낀 점